• Deutsch
  • English
  • Español
  • Français
  • Italiano
  • Nederlands
  • Português
  • 中文(简体)
  • 中文(繁體)
  • 日本語
  • العربية
  • ไทย
  • 한국어
WORKSEXHIBITIONSCONCEPTSBOOKSBIOGRAPHYCONTACTCAREERS
FUTURE PARK
ARCHITECT
BIOGRAPHY
CONTACT
FEATURED
ART
OTHER / LAB
ALL
EXHIBITIONS
CONCEPTS
BOOKS
FUTURE PARK
ARCHITECT
  • Deutsch
  • English
  • Español
  • Français
  • Italiano
  • Nederlands
  • Português
  • 中文(简体)
  • 中文(繁體)
  • 日本語
  • العربية
  • ไทย
  • 한국어

Multi Jumping Universe

teamLab, 2022-, Interactive Digital Installation, Sound: DAISHI DANCE
メイン画像

Multi Jumping Universe

teamLab, 2022-, Interactive Digital Installation, Sound: DAISHI DANCE

‘멀티 점핑 (Multi Jumping)’은 뛰어오를 수 있는 신축성 있는 바닥. 자신이 있는 장소가 푹 꺼지기도 하고, 평소보다 더 높이 뛰어오를 수 있다.


‘멀티 점핑’에 올라서면 발밑이 꺼지면서 시공간의 왜곡이 생기고, 별의 부스러기가 모여 새로운 별이 태어난다. 별 위에서 뛰어오르면 별이 움직이기 시작한다. 움직이는 별을 따라가며 별 위에서 계속 뛰어오르면 별은 점점 성장하며, 별의 일생을 체험한다. 별은 일생을 마치면 별의 부스러기로 변해 새로운 별의 원천이 된다.

매우 크게 성장한 별은 블랙홀로 변하며, 주변의 별 부스러기와 다른 별들을 빨아들인다.

작품의 배경

별의 일생

태양이나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‘항성(붙박이별)’이라고 합니다. 우주에는 우리가 사는 지구와 같은 ‘행성’과, 지구를 중심으로 도는 달과 같은 ‘위성’ 등 다양한 종류의 별이 존재하는데, 그중 ‘항성’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. 


항성의 일생과 크게 관련된 것이 바로 ‘중력’입니다.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따르면, 우주에서는 물체의 질량에 의해 시 공간이 휘어지게 된다고 합니다. 이 휘어진 공간을 통해 주위의 물체가 모여드는 작용을 ‘중력’이라고 합니다.

별의 탄생

우주에는 먼지와 가스가 떠다니고 있습니다. 이것들이 중력에 의해 모이면 별이 탄생할 수 있는 ‘별의 알’과 같은 것이 생겨납니다. 이와 같이 별이 되기 직전의 상태를 ‘원시별’이라고 합니다.

별의 진화

‘원시별’은 주변에 있는 먼지와 가스를 중력으로 모아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으로 진화합니다. 이 단계의 항성을 ‘주계열성’이라고 부릅니다. 항성은 생애 대부분을 ‘주계열성’이라는 단계에서 보내게 됩니다. 우리가 보고 있는 태양도 현재 이 단계입니다. 더욱 진화하면 별은 팽창하기 시작해 ‘적색 거성’이라 불리는 붉고 커다란 별이 됩니다.

별의 죽음과 재생

태양의 질량보다 약 8배 작은 별의 경우, 그대로 가스를 방출하며 생을 마감합니다. 이보다 질량이 더 큰 별의 경우, ‘초신성 폭발’을 일으키며 생을 마감합니다. 별은 ‘초신성 폭발’로 날아가고, 다시 먼지와 가스가 되어 다음 별을 만드는 재료가 됩니다.
Images for media

RELATED EXHIBITIONS

展示画像

개최중

teamLab Borderless Jeddah

2024.6.10(Mon) - 상설

Culture Square, Jeddah Historic District

teamLab Museum

NEWS
CAREERS
© teamLab沪ICP备12026910号-1Privacy Policy